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정보15

마이그레이션 & 커스터마이징 & 옵티마이징 이란 마이그레이션 : 현재의 운영환경에서 대개 더 낫다겨 여겨지는 운영환경으로 옮겨과는 과정(이주)을 말한다. 프로그램의 운영환경의 이주 커스터마이징 : 주문제작, 소비자의 요구에따라 제품을 제작하거나 재설계 재구성하는 것, 게임에서는 사용자가 캐릭터 외형을 바꾸는것! 프로그램을 요구사항에 맞춤 옵티마이징 : 최적화, SQL문을 가장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최적의 처리경로를 생성해주는 DBMS 핵심엔진을 옵티마이저라고한다. 프로그램의 효율성의 최적화 2019. 6. 28.
스크립트와 스키마의 차이? 스크립트는 테이블을 짜기 위한 명령어를 말하며 스키마는 테이블이라는 좁은 의미에서는 테이블이 어떤구조로 짜여졌고 어떻게 데이터를 표현하며 어떻게 관계를 형성하는지 보여주는 전체적인 구성을 말한다. 드라마로 비유하자면 스크립트는 대본일 뿐이고 스키마는 주제, 형식, 줄거리, 등장인물, 인물관계도, 배경 등 종합적이고 상세하게 표현되는 극본과 같은 듯 하다. 2018. 11. 20.
DB의 스키마란? 사전적 정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database schema)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의 구조, 자료의 표현 방법, 자료 간의 관계를 형식 언어로 정의한 구조이다. 그니까 한마디로 데이터베이스가 어떻게 짜여져있고(타입, 크기, 기본키 지정 등으로 자료를 구조화) 어떻게 보여지고(테이블과 컬럼명으로 데이터를 분류하여 표현) 어떻게 연관성이(테이블간 자료의 관계 형성) 있는지 특정 언어로 말하는 것! 즉, 데이터베이스의 전체 구성을 특정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스키마다! 개념스키마 : 전체적인 자료를 바라보는 관점 제약조건과 관계 등을 정의하는 단계 내부스키마 : 프로그래머나 설계자가보는 구조화된 데이터표현 외부스키마 : 사용자의 뷰에서 보여지는 현실적 데이터표현 2018. 11. 20.
DB의 스크립트란? 사전적 의미 : 각본, 대본 주변환경, 상황묘사까지 포함하는 각본과 달리 대사에 충실한 대본에 더 가깝다. DB에서의 스크립트가 뭐냐? 테이블 스페이스를 만들고, 테이블을 만들고, 기본키를 지정하고, 컬럼을 넣고, 주석을 달고하는 등의 쿼리문들을 모아놓은 것. 스크립트들로 하나의 완성된 테이블이 만들어진다. 각본이나 대본이 연기자와 무대를 만나 연극이 되듯이 스크립트가 DBMS에 의해 데이터베이스테이블이 되는 거다. 2018. 11. 20.
세션(session)이란? 1. 세션이란 특정한 연결 그 자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2. 세션이란 통신을 하기 위해 메세지 교환을 통한 서로의 인식으로부터 통신을 마칠때까지의 기간 세션시작 : 로그인이며 메세지 교환을 통한 서로의 인식 세션유지 : 로그인 되어있는 상태로 인식의 지속 세션마침 : 로그아웃 or 브라우저 종료 or 설정시간의 만료를 통한 인식의 단절 사용 예) 나는 브라우저를 켜고 네이버에 로그인했다. - 세션시작 다른탭으로 다시 네이버를 새로 열었는데 로그인 상태다. - 세션유지 로그인 상태로 메일, 업로드, 검색 등 네이버에서 이것저것 한다 - 세션유지 로그아웃 하거나 로그아웃 없이 브라우저를 종료하고 다시 새로 켜서 네이버로 갔는데 로그아웃됬다. - 세션 마침 또 다른 세션의 특징 로그인 후 브라우저를 끄지 않고.. 2018. 11. 20.
Oracle License 정책 http://www.indienet.co.kr/?p=238 2018. 11. 19.